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<br><br>경제산업부 강유현 차장과 정치부 김철중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강 차장, 김남국 의원의 해명과는 달리 김 의원의 것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지갑이 발견됐어요. <br> <br>네. 가상자산 거래가 블록체인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추적이 가능했는데요. <br> <br>은행에서 거래한 내역은 은행 중앙 서버에 저장이 됩니다. <br> <br>반면 가상자산 거래는 사용자들의 블록체인에서 실시간으로 거래 정보가 저장되고 공유됩니다. <br> <br>누군가가 조작할 수 없고 투명하다는 게 특징인데요, 이 때문에 일반인이라도 김 의원의 전자지갑을 찾아내고, 이 지갑 주소를 기반으로 거래 내역을 열어볼 수가 있는 겁니다.<br> <br>Q2. 그럼 김 의원의 전자지갑이 어떻게 발견된 건가요? <br> <br>한 코인업계 전문가가 김남국 의원이 낸 입장문에 나온 정보를 바탕으로 김 의원의 코인 지갑을 특정해냈습니다. <br> <br>카카오가 만든 '클립'이라는 전자지갑인데요, 입장문에 나온 클립 개설일을 기반으로 가상자산 잔고 형태와 규모가 매우 흡사한 한 개를 추려낸 겁니다.<br> <br>그리고 이 클립과 거래가 있었던 업비트와 플레이월렛의 전자지갑을 김 의원의 것으로 특정했습니다. <br> <br>Q3. 이 3개의 지갑을 따라가보니 거액의 위믹스 이체가 있었다는 거죠? <br> <br>네. 해당 전문가가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에서 해당 지갑에 위믹스가 흘러간 정황을 봤더니 2021년 10월부터 플레이월렛에 10만 개, 2022년 1월부터 업비트 지갑에 85만 개, 클립에 41만 개가 이체됐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 의원에 대해 처음 제기된 의혹은 위믹스 80여만개를 보유했다는 건데, 더 규모가 커진 겁니다.<br> <br>Q4. 여기서 또 주목되는게 있죠. 원래 알려지기로는 지난해 1,2월에 주로 위믹스가 이체됐다는 거 아니었나요? <br> <br>네. 특히 이번에 새로 발견된 플레이 월렛에 위믹스가 이체된 시점이 특이합니다. <br> <br>2021년 10월부터 시작이 됐다는데요, 당시 가격은 2000원 안팎이었는데, 11월 22일 2만8900원까지 올랐습니다. <br> <br>전자지갑 3곳에 이체된 시점을 보면 김 의원이 가격이 폭등하기 전부터 위믹스를 보유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는 겁니다.<br> <br>해당 전문가는 위믹스에 이렇게 많은 자산을 사전에 집중 투자한 게 가격이 상승할 거란 정보를 미리 알지 않고서는 불가능했을 거라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업비트로 자산을 옮긴 시점과 관련해서는요. <br> <br>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업비트 점유율이 80%나 되는데요. <br> <br>김 위원이 위믹스를 좀 더 쉽게 처분하기 위해 빗썸에서 업비트로 옮긴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Q5. 의혹이 이렇게 커지고 있는데, 그럼 이제 민주당은 어떻게 하겠다는 건가요? <br> <br>네, 의혹 초기만 해도 민주당 지도부는 "김 의원이 해명할 문제"라고 선을 그었었죠. <br> <br>지난 8일에는 김 의원이 당 지도부를 찾아왔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당시 그 자리에 있었던 한 관계자는 "김 의원이 가져온 자료와 설명을 들으니 소명이 되더라"고 했습니다.<br> <br>이 때까지만 해도 '김 의원의 해명 태도와 대응 문제' 정도로 여겼다고 볼 수 있죠.<br><br>하지만 앞서 강 기자가 설명한 것처럼 추가 의혹들이 불거지자 결국 당 차원의 진상조사팀을 꾸리기로 한 겁니다. <br> <br>조사위원도 이미 확정했는데 여기에 가상자산 관련 외부 전문가를 포함시킬 계획입니다.<br><br>당 지도부는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조사를 마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Q6. 일단 민주당이 강한 의지를 드러낸 걸로 보여요. 왜 갑자기 이렇게 입장이 바뀐 건가요? <br> <br>당내 반발은 총선과 관련이 있습니다. <br> <br>총선을 앞둔 민주당 의원들에게 여론이 나빠지는 게 좋을리 없겠지요. <br> <br>[이소영 / 민주당 원내대변인(MBC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 <br>"민주당 차원에서도 본인한테 계좌 내역이나 지갑 내역을 받아서 레드팀처럼 누군가가 검증하고 사실관계를 확정하고 국민들한테 소명하고…" <br> <br>한 수도권 초선 의원은 "당 전체의 도덕성 문제로 번질 경우 내년 총선에 가장 큰 악재가 될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돈봉투 사건은 관련자가 많고 대상을 특정하는게 쉽지 않잖아요. <br> <br>하지만 이번 사안은 조사 대상이 한 사람으로 국한된 만큼 부담이 적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<br> <br>Q7. 민주당에서 김 의원을 조사한다고 하지만, 의원 전수 조사 얘기까지 나오고 있어요. <br> <br>민주당에 대한 비판 여론을 빨리 잠재우려면 뭔가 대책을 내놔야하잖아요. <br><br>그 차원으로 보이는데요. <br> <br>민주당부터 전수 조사하고 국민의힘도 포함시키자는건데, 논란에 국민의힘까지 끌어들이겠다는 속내가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한국게임학회에서는 "최근 가상화폐 관련 게임업체들이 국회에 로비를 한다는 소문이 많았다"는 주장까지 제기됐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국회의원 뿐만 아니라 보좌진에 대한 전수조사까지 요구하고 나섰습니다. <br><br>Q8. 그런데 가장 근본적으로 밝혀야할 부분이 있는 것 같은데요. 김 의원이 이렇게 거액을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었던 자금 출처는 무엇인가 아닌가요? <br> <br>결국 핵심은 빗썸이 될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왜냐면 빗썸은 아까 말씀드린 블록체인 구조와 달리 빗썸이라는 거래소가 모든 거래 내역을 쥐고 있거든요. <br> <br>김 의원이 현재 빗썸에 가상자산 약 7억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는데, 가상자산 전문가를 통해 드러난 사실을 보면 과거엔 더 많은 거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지난해 2월 검찰이 금융정보분석원, FIU로부터 김 의원의 가상자산 거래 기록을 넘겨받은 뒤 법원에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했지만 기각됐는데요. <br> <br>검찰이 영장 재청구를 검토하는 만큼 향후 수사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